김호상의 문화유산 둘러보기

김호상의 문화유산 둘러보기
진흥문화재연구원장 김호상교수님의 글들을 소개하는 블로그입니다.
17 | 729352

에밀레종은 성덕대왕 신종이 아니다
 | 문화유산편지
Last Modified : 2016/12/22

Travel regions : South Korea
 | Hits : 15161
https://blog.lookandwalk.com/vi/blog/kjlove1966/4844/trackback

사진) 성덕대왕신종(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국보 제29호, 문화재청)

설명) 이 종은 신라 혜공왕 7년(771)에 완성되었으며,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종이다. 높이는 3.66m, 무게는 약 18,908kg에 이른다.



한국 종(鐘)은 중국종을 모방하여 만들어졌지만 8세기에 들어와서는 한국종의 양식과 특색을 갖추기 시작하여 어느 나라에서도 비교할 수 없고 따라 올 수 없는 세계 최고의 금속공예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한국종의 전형적인 양식과 형태를 갖추고 있는 종은 성덕대왕신종이다.


성덕대왕신종은 [삼국유사]에 따르면 성덕왕이 죽은 후 아들 효성왕이 부왕의 명복을 기원하는 봉덕사를 창건하였고, 효성왕의 동생 경덕왕도 부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청동 12만근을 모아 종을 만들려고 하였으나 이루지 못하고 죽자, 경덕왕의 아들 혜공왕이 종을 완성하여 봉덕사로 옮겨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 종을 ‘봉덕사 종’ 이라고도 불린다.


종의 표면에는 1천자 가량의 글자가 돋을새김으로 새겨져 있고 그 주위로 향로를 든 비천상이 조각되어 있다. 글에는 신종을 만든 목적과 과정, 그리고 신라왕업을 찬양하는 시와 신종제작에 참여하였던 관직과 이름 등이 기록되어 있다.


성덕대왕신종의 또 다른 이름의 하나가 ‘에밀레종’이다. 이렇게 불리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 때문이다. ‘온 백성의 성의를 모아 종을 만들기 위해 전국의 고을마다 시주승이 전국을 다녔다. 모든 준비가 다 되어, 좋은 날을 택하여, 쇳물을 부었으나 매번 금이 가고 깨어진 소리가 날 뿐이었다. 장인들과 신하, 스님들은 모두 낙심하고 있는데, 어느 날 점치는 일관이 와서 이 신종을 완성하려면 사람의 희생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도 속세의 물욕과 때가 묻지 않은 어린아이를 쇳물 속에 넣어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 세상에 어느 누가 귀한 자식을 희생양으로 시주를 하겠는가, 참으로 난처한 일이었다. 이때 한 스님이 작년 구리를 시주 받기 위해 어느 마을로 갔더니 어느 가난한 집에서 귀여운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이 있어 시주를 청했더니 우리 집의 재산이라고는 이 아이 뿐인데 이 아이라도 받아간다면 시주하겠다고 했다는 것이다. 이야기를 들은 신하들과 스님들은 부처님을 속일 수 없는 일이라 하여, 아기를 강제로 데려다 끊는 용광로 속에 집어넣었다.


그리고 쇳물을 부었다. 그처럼 애를 먹이던 종이 이번에는 금간데도 없고 구멍도 없이 훌륭한 신종이 이루어졌다. 종각에 달고 종을 쳐 보니 부드럽고 맑은 소리가 서라벌 장안에 울렸는데, 그 소리에는 ‘에밀레’하는 애처로운 소리가 섞여 울리는 것이었다. 엄마 때문에 쇳물 속에 녹아 종이 된 어린아이의 슬픈 하소연이 종소리에 섞여 울려 나오는 것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종을 ‘에밀레종’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에밀레는 ‘어머니의 말 한마디로’ 라는 뜻이라고 한다.


성덕대왕신종에 ‘에밀레 종’이라는 별명이 붙은 시기는 일제감점기로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 이전의 어떠한 문헌에서도 성덕대왕신종을 에밀레종이라고 한 자료는 없기 때문이다. 다만 1925년 8월 5일자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 창착 문예란에 렴근수라는 무명의 이름으로 [어밀네 종]의 동화가 실려 있어, 이것이 ‘어밀네’를 처음 확인 할 수 있는 자료이다.


그러나 이 ‘어밀네 종’이 ‘성덕대왕신종’을 가리키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조선에 선교사로 왔던 헐버트의 글속에는 에미(em-mi, 엄마)라고 부르는 커다란 종이 서울 중심에 있다(...the great bell that hangs in the centre of seoul...)고 기록한 것을 보면, 서울 종로 종각에 걸려있던 옛 보신각 종으로 추정된다. 이 종은 1468년(세조 14)에 주조되어 처음 정릉사에 걸려 있다가, 원각사로 옮겨진 후 임진왜란으로 사찰이 불타자 현재의 위치를 옮겼고 고종 때 종루에 보신각이라는 현판을 걸게 되어 1985년까지 제야의 종으로 사용되었다. 옛 보신각 종은 보물 제2호로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현재의 보신각 종은 신라 성덕대왕신종을 복제하여 사용하고 있다.



원문 링크 http://www.kimhosang.com/html/sub2-2.html?page=4&a...


김호상, 문화유산, 신라, 경주, 에밀레종, 성덕대왕, 신종, 보신각, 정릉사, 제야의종
One line comment(0) 
PDF
Bookmark
E-mail
0bytes / 200bytes
View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