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옹기박물관
울산옹기박물관의 블로그입니다. 옹기마을 소식과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전해 드립니다.
26 | 33956

숨쉬는 그릇, 옹기
 | 옹기마을 소식
แก้ไขล่าสุด : 2016/11/23

สถานที่ท่องเที่ยว : South Korea
 | จำนวนผู้ชม : 9918
https://blog.lookandwalk.com/th/blog/onggimuseumkrgov/4700/trackback

숨쉬는 그릇, 옹기


옹기란?



옹기[甕器]는 자연으로부터 최소한의 흙, 물, 불, 바람을 빌려와 만든 그릇으로서 자연적 소박함이 묻어있는 질그릇과 오지그릇를 총칭하는 말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옹기를 조미료와 주식 및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족만이 가지는 독특한 음식 저장 용기이다.



질그릇

질그릇은 진흙으로만 만들어 구워 잿물을 입히지 않은 그릇을 말한다. 공기의 유통이 좋아 곡식을 담아 두어도 벌레가 생기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저장용기로 발달하였다.


오지그릇

오지그릇은 질그릇에 잿물을 입혀 다시 구운 윤이 나고 단단한 그릇을 말하며 내화력이 강하고 흡수력이 적기 때문에 취사, 운반, 수납용구로 이용되었다.




옹기의 특징


통기성(숨쉬는 그릇)

예로부터 옹기는 숨쉬는 그릇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는 태토가 되는 찰흙에 들어있는 수많은 모래 알갱이가 그릇 벽에 미세한 공기구멍을 만들어 옹기의 안과 밖으로

공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안에 담긴 음식물을 잘 익게 하고 오랫동안 보존해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옹기는 된장, 간장, 김치, 젓갈

같은 발효음식의 저장그릇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방부성(썩지 않는다)

옹기에 쌀이나 보리, 씨앗 등을 넣어 두면 다음해까지 썩지않고 그대로 있다. 이는 옹기를 가마 안에 넣고 구울 때 나무가 타면서 생기는 검댕이가 옹기의 안과 밖을 휘감으면서 방부성물질이 입혀지기 때문이다. 또한 잿물유약에 들어가는 재도 음식물이 썩지 않게 하는 방부성 효과를 높여 준다.


쓰임새의 다양성(여러 종류의 옹기)

청자, 백자의 자기류와 달리 옹기는 서민들의 실생활에서 부담 없이 집안 곳곳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장독대, 부엌, 곳간 등에서 사용되는 생활용품에서부터 신앙용, 의료용품, 악기 등 우리 생활에 폭 넓게 사용되었다.


자연으로의 환원성(흙으로 되돌아 간다)

우리가 쓰는 그릇 중에서 옹기는 자연에 가장 가까운 그릇이다.

야산에서 얻어지는 찰흙에다 나뭇잎이 썩어 만들어지는 부엽토와 재를 섞어 만든 잿물을 입혀 구워내기 때문에 우리 몸에는 전혀 해가 되지 않는 그릇이다.

또한 옹기는 단단하여 조심스럽게 사용하면 백년이상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던 중 그릇에 금이 가거나 깨지더라도 그릇의 성분이 자연 그대로이기 때문에 쉽게 흙으로 다시 돌아간다.





옹기 만드는 과정


전통 통가마(일명 대포굴)는 저온에서 점차 고온불로 가열하여 완성까지는 8~10일 정도 시일이 소요된다.

근래 개량가마인 노보리가마(일명 칸가마)나 새틀가마(일명 콘테이너가마)는 연료를 나무와 벙커C유, 가스 등을 혼합 사용한다.


1. 흙 만들기

옹기를 만들 흙을 물에 풀고 불순물을 골라내어 찱흙을 만든다.


2. 흙 반죽하기

찰흙을 메로 치고 발로 이긴 다음 완성된 찰흙을 가래떡처럼 길게 뭉쳐서 흙띠를 만들어 놓는다.


3. 모양 만들기

물레 위에 찱흑을 올려놓고 납작하게 옹기 밑판을 만든 다음 흙띠를 두드려가며 쌓아올려서 옹기모양을 만들어 간다.


4. 옹기 말리기

굽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균열과 파손을 막기 위해 통풍 잘되는 그늘에서 서서히 말린다.


5. 유약 바르기

건조를 마친 후 잿물과 약토를 섞은 잿물유약을 입힌다.


6. 문양 그리기

옹기의 유약이 마르기 전에 다양한 문양을 새겨 넣고 2차 건조 작업을 시작한다.


7. 옹기 굽기

가마 안에 잘 재어 넣은 후, 장작을 넣고 불을 지펴 굽는다.





가마 만드는 과정



가마의 종류는 단실(單室) 가마에서 연실(連室) 가마, 계단식 가마와 무단식 오름세 가마에 이르기까지 기본구조는 아궁이ㆍ소성실ㆍ굴뚝으로 이루어진다.

대체로 옹기가마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부터 신기술을 도입한 계단식 옹기 가마이다.


1. 구릉파기

구릉 경사면을 따라 바닥을 파내어 가마 바닥의 오름세를 만든다.


2. 겉 집 짓기

지상에 나오는 가마 천정은 겉 집을 망뎅이를 쌓아올려 형태를 만든다.


3. 흙 덮기

망뎅이를 쌓은 겉 집 위에 흙덩이를 쌓아올려 완성한다.





원문 링크 http://onggi.ulju.ulsan.kr/academy/academy02.php







옹기, 가마, 옹기제작, 옹기마을, 옹기박물관
ความคิดเห็นหนึ่งบรรทัด(0) 
PDF
บุ๊คมาร์ค
อีเมล์
0bytes / 200bytes
ดูรายชื่อ